본문 바로가기
공연을 즐기는 생활

다시 시작 되는 전파로 인한 공연 중단 및 거리두기 시작에 대한 생각 (취소 되는 공연과 취소 수수료 면제 공연들 정보)

by 별난방 2020. 8. 19.
반응형

다시 시작되는 2단계 사회적 거리두기. 8월 15일에 있었던 집회와 특정 종교 집단으로 시작된 바이러스 전파. 여태까지 공연을 소비하는 사람의 입장으로서 불필요한 외출은 하지 않고 어쩌다 한번 잡아 둔 공연을 보러 가기 위해 개인위생을 더욱더 철저히 지켜왔었는데 이 모든 것이 한순간에 무너졌다. 물론 그동안 공연계 안에서 잡음이 없었던 것도 아니다. 배우들 사이에서도 지인이 확진자와 접촉을 하거나 하는 상황이 생기면서 공연이 잠시 쉬어 가기도 했고, 캐스팅이 변경되는 일이 종종 있었다. 그리고 정부에서 위험시설로 분리한 곳에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 간 배우들이 논란이 되기도 했었다. 그렇지만 방역 수칙을 잘 지키고 철저하게 하고 있다는 서로 간의 신뢰로 공연은 계속 이어져 오고 있었다. 공연을 보러 가는 개인들은 개인위생을 철저하게 지키며 공연장 안에서는 마스크를 필수로 착용하며 서로 조심해 오고 있었다. 

이렇게 할 수 있었던 건 올 초, 지난 3월쯤으로 기억하는데 신천지 확산이 퍼지면서 거의 모든 공연이 짧게는 2-3주 길게는 한 달이상 멈추거나, 심하게는 공연 중단이 되었다. 그때 실제로 제작사나 관객, 그리고 배우들이 몸으로 체감을 했던 것 같다. 그리고 다시 공연이 올라오기 시작했을 때 방역을 더 철저히 하며 조심하게 된 것 같다. 그리고 8월 17일 월요일부터 중단 상황까지 가지는 않고 있지만, 대부분의 기획사들이 8월 30일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2주 기간 동안)까지 예매한 고객들에게는 취소 수수료 없이 티켓을 환불해주고 있다. 콘서트나 기획 공연들, 그리고 국. 공립 건물들은 정부의 지침에 따라 모두 올 스톱되었다. 실제로 나도 가지고 있던 티켓들을 대부분 다 정리를 했고, 정리를 당했다. 

무엇보다도 안전이 제일 중요하기 때문에 당분간은 정말 필요한 때 아니고는 집 밖을 나가지 않을 예정이다. 그런데 오늘자 뉴스를 보니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밖에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 돌아 다니고 있고 식당, 카페, 술집 등을 이용하고 있는 모습을 봤다. 뭔가 또다시 나만 이렇게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건가 허탈함이 몰려왔다. 자영업을 하시는 분들도 당연히 먹고사는 문제기 때문에 힘들다는 걸 알고 있다. 그렇지만, 내가 죽으면? 확진이 되면? 그게 다 소용이 있을까?? 아직 집회 참석자들의 확진 여부를 거의 모르는 상태고 n차 감염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 상황인데 정부가 공고한 이번 기간까지 만이라도 서로를 조금 더 배려하는 모습을 보였으면 좋겠다. 

[현재 취소 수수료 없이 취소 가능한 공연]

뮤지컬 광염소나타, 뮤지컬 미아 파밀리아, 연극 와이프 - 대학로, 뮤지컬 무인도 탈출기, 뮤지컬 브로드웨이 42번가,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 뮤지컬 킹키부츠, 뮤지컬 베르테르, 뮤지컬 썸씽로튼, 연극 마우스피스, 뮤지컬 개와 고양이의 시간, 뮤지컬 시데레우스, 뮤지컬 빨래, 뮤지컬 베어 더 뮤지컬, 뮤지컬 렌트, 뮤지컬 마리퀴리, 뮤지컬 더 모먼트 등등

[중단되거나 연기된 공연]

뮤지컬 머더 발라드 - 8/30일까지 공연 중지

뮤지컬 블러디사일런스 - 8/30일 공연까지 중단

연극 와이프 대학로 - 8/21~8/23 공연 취소 조기폐막

2020 뮤지컬 갈라 콘서트 쇼 머스트 고 온! - 무기한 연기

내일은 미스터 트롯 대국민 감사 콘서트 - 무기한 연기

 

일단 관람을 원치 않을 시 취소 수수료가 면제되는 공연 중 알고 있는 것들은 위와 같다. 하지만 극마다 면제 가능 시일이 달랐던 것 같기도 해 각 제작사 공지를 필히 확인을 하기 바란다. 그리고 빠진 공연이 있을 수 있다. 

대부분은 예매한 예매처로 환불 전화를 걸면 되는 데 현재 많은 공연에서 취소 문의가 동시다발적으로 들어 오고 있기 때문에 전화 연결이 되기가 굉장히 힘들다. 그런 경우에는 일단 1:1 문의 같은 곳에 남겨 두거나 (취소 마감 기간 전에 취소를 하려고 했다는 걸 보여 주기 위한 기록용), 제작사 공식 SNS 페이지를 통해 문의를 해볼 수 있다. 문의를 하기 전에 제작사 측에서 새로운 공지를 한 건 없는지는 먼저 살펴보자.

 

반응형

댓글